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04-30 06:38
관리 메뉴

JMC Comprehensive Environment

철거 해체 면적 계산 폐기물 배출량 계산 운반차량대수 계산 성토 면적 평수 단위중량 계산 본문

JMCce 뉴스

철거 해체 면적 계산 폐기물 배출량 계산 운반차량대수 계산 성토 면적 평수 단위중량 계산

JMC-ce 2024. 2. 11. 22:52

JMCce 건설폐기물에 대한 지식 설명

♧ 오늘의 명언 ♧

사업의 성공은 훈련과 절도, 고된 노력을 요한다. 그러나 이런 것들에 지레 겁먹지만 않으면 성공의 기회는 오늘도 그 어느 때 못지않다.

데이비드 록펠러

JMCce
JMCce 건설 건축 산업 사업장 폐기물 수집 운반 지역 및 성상 소개 합니다.

● 서울 인천 경기-건설폐기물 수집운반 시. 구 단위


- 서울, 서울시 -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인천, 인천시 -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 경기, 경기도 -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 수집 운반 품목 및 성상 목록 -

건설폐기물처리, 혼합폐기물처리, 건축폐기물처리, 사업장폐기물처리, 리모델링폐기물처리, 철거폐기물처리, 완파현장폐기물처리, 신축현장폐기물처리, 산업폐기물처리, 이사폐기물처리, 이삿짐폐기물처리, 인테리어폐기물처리, 식품폐기물처리, 냉동냉장폐기물처리, 폐목재, 폐콘크리트

● 건설폐기물 배출량 계산 운반차량대수 계산 성토 해체 면적 평수 계산 루베를 톤으로 단위중량

● 단위중량별 상차 물량의 차이 이해


차량별 흙을 실을 수 있는 이론적인 수치.

​1톤 트럭에는 0.6㎥ (루베), 15톤은 9㎥, 25.5톤은 16㎥ 정도의 흙을 실을 수 있다.
​계산방식은 차량의 톤수를 단위중량으로 나누면 된다.
일반적인 토사의 단위중량을 1.5~1.6 정도로 보는데, 1톤을 1.6으로 나누면 0.625㎥가 나오는 것이다.
여기서 단위중량 1.6이 의미하는 것은, 1㎥에 흙을 가득 채웠을 때 흙의 무게가 1.6 ton이라는 말이다.

그러면, 흙 말고 돌은 단위중량
가로 1m × 세로 1m × 높이 1m =2.5 ton

상식적으로 흙보다 돌이 더 무거운데, 돌의 단위중량은 2.5 내외이다.

즉, 1루베 크기의 통에 돌을 가득 채웠을 때 그 무게가 2.5톤이 된다는 말이다.

그러면, 단위중량이 클수록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양은 적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무거우니 많이 실을 수 없음)

가령, 1톤 트럭에 흙은 0.6㎥를 적재할 수 있는데, 돌은 0.4㎥밖에 실을 수 없다.

(암반 적재량 : 1톤 트럭 ÷ 단위중량 2.5 = 0.4㎥)

​이런 식으로 각 재료별 단위중량이 정해져 있는데, 차량의 톤수에 단위중량을 나누면 적재할 수 있는 양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성토할 때 필요한 차량대수 계산하기

가로 20m, 세로 20m 부지를 50cm 높이로 성토하고자 한다.

​총 필요한 흙의 양(㎥) = 20m x 20m x 0.5m = 200㎥

● ​(15톤 덤프 1대 흙의 양 : 7㎥) 200㎥ ÷ 7㎥ = 약 28대


15톤 덤프트럭



​● ​(25톤 덤프 1대 흙의 양 : 13㎥) 200㎥ ÷ 13㎥ = 약 15대


25톤 덤프트럭



● 평수로 계산하는 방법

​만약 120평 대지를 50cm 높이로 성토하고자 한다면, 먼저, 평수를 ㎡(제곱미터)로 환산해 준다.

​120평 x 3.3 = 약 400㎡




실제, 1평은 3.3㎡(제곱미터) 보다 조금 더 크지만, 계산 편의상 소수점은 제외하고 3.3을 곱한다.

​이렇게 400㎡가 나오면 여기서 원하는 높이인 0.5m를 곱해주면 200㎥(루베)가 된다.​​

​총 필요한 흙의 양이 200㎥이니, 앞서 계산한 대로 차량별 적재량으로 나눠준다.

● 루베를=> 톤으로

철근 폐콘크리트 기준 2.4 = 2,400kg

​철근 폐콘 2,400kg = 1루베

​폐기물 성상(품목) 톤 × 폐기물 총 루베 100 루베

​혼합 1.36 × 100 루베 = 136 톤

​● ALC 블럭 단위 중량

​ALC 블럭 은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으로 내화성, 경량성, 단열성, 차음성 친환경성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닌 건축자재로 주택, 빌딩, 상가, 대형마트, 사업장 기타 여러 곳의 가벽 작업을 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ALC 블럭 0.6

​100 m×100 m×100 m×0.6=500kg

​● 타일 해체 면적 계산

​타일 해체 면적 × (타일 두께 + 붙임 모르타르 두께) × 2.2톤/m³

타일 단위 중량 2.2~2.4

● 폐기물 부피 및 톤수 계산

​길이 × 폭 × 깊이 × 성상 단위 중량

​10m × 3m × 0.5 × 2.4 =

● (2.5톤 카고 1대 흙의 양 : 5㎥) 200㎥ ÷ 5㎥ = 약 40대

각 성상별 폐기물을 폐기물 차량에 상차를 했을 때는 무게나 부피에 대해서 변동이 생깁니다.
상차를 하면서 아무리 정리를 잘해도 건축을 할 때처럼 깨끗한 자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건축을 할 때의 자재는 팔레트에 정리가 돼있는 상태이고 폐기물로의 배출 시에는 한 가지 폐자재에 다른 폐자재가 붙어있는 경우가 일반적이기에 폐기물로의 배출 시에는 조금 더 넉넉하게 잡으셔야 합니다.

(2.5톤 기준) 실제로 폐기물을 배출할 때는 각 성상별로 부피나 무게 현장 상황에 따라서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혼합폐기물은 차량의 (머리) 탑높이로 상차 되며 톤수가 많이 나가는 성상 폐콘크리트(폐재류)는 36 합판 높이 기준으로 상차합니다

아직까지 철거, 인테리어 현장에서는 1톤 2.5톤 카고 암롤 차량의 폐기물 배출 시 부피 단위인 루베로 사용하고 대량의 건설폐기물을 배출하는 현장에서는 15톤 25톤 덤프차량을 이용하며 무게 단위인 톤 단위로 비용을 산정하지만 실제로는 배출차량 대수 × 단가로 정산합니다.


서울, 서울시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업체
서울, 서울시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
서울, 서울시 건설 혼합 폐기물
서울, 서울시 건설 혼합 폐기물업체

​인천, 인천시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업체
인천, 인천시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
인천, 인천시 건설 혼합 폐기물
인천, 인천시 건설 혼합 폐기물업체

경기, 경기도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업체
경기, 경기도 건설 혼합 폐기물처리
경기, 경기도 건설 혼합 폐기물
경기, 경기도 건설 혼합 폐기물업체